알림마당

  • 공지사항
  • 정보공유
  • 보도자료
  • 언론보도
  • 채용공고
  • 사진·영상

언론보도

  • 알림마당
  • 언론보도
협의회 뉴스언론에서 본 자원봉사

공지사항 보기
제목 [언론에서 본 자원봉사] 보상으로 유혹하고, 관(官)이 주도하는 자원봉사 … “이제 뜯어고칠 때” 2011-06-23
작성자 관리자 hit : 2908
첨부파일 첨부된 화일이 없습니다.  
본 기사는 [중앙일보] 입력 2011.06.23 02:00 수정 2011.06.23 02:00 에 기재되었습니다. 아래는 일부의 기사를 발췌해 놓았습니다. 전체 기사보기를 원하시면 사진을 클릭해 주세요^^ [행복동행 기획취재] 업그레이드 자원봉사! #사례1=대학생과 고3·중1 등 세 자녀를 둔 김모(46·여·서울 노원구)씨는 수년 째 자원봉사와 씨름 중이다. 입시에 봉사활동 시간이 중요한 항목이라서다. 하지만 회의감이 크다. 둘째 딸 미영(가명)이가 고2 때인 지난해 우체국에 봉사를 갔던 일을 이렇게 소개했다. “선생님이 공공기관에 가서 자원봉사를 하라고 해서 친구 두 명과 함께 우체국에 찾아갔어요. 그런데 우체국에선 ‘너희들이 할 만한 게 없다’면서 ‘구내식당에 가보라’고 하더래요. 결국 식당에서 마늘 다듬는 일만 거들다가 돌아왔더군요.” 미영이는 “동네 어린이집에 봉사 갔을 때는 30분 동안 쓰레기 줍고 2시간 확인증을 받아왔다”며 다른 사례도 전했다. “어린이집 아이들에게 도움되는 일을 할 걸로 기대했는데 직원이 비닐봉지랑 나무젓가락을 주면서 청소나 하라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어린이집 마당과 주변의 쓰레기만 주웠죠. 우리가 찾아온 걸 좀 귀찮아 하는 것 같더라고요. 친구들도 공공기관에 봉사를 가면 노닥거리면서 허드렛일 좀 하고 오는 걸로 알고 있어요.” 어머니 김씨는 “다른 엄마들은 아예 아이들 봉사를 대신해 주기도 한다”고 했다. “아이와 함께 복지관에 도시락 배달 봉사를 신청한 뒤 어머니만 봉사를 해도 아이 확인증까지 같이 끊어 준다고 하더군요. 얘들 공부하느라 바쁜데 어차피 의미도 없는 그런 봉사는 엄마가 대신 해주는 것이 아이들을 위해 낫다고들 하지요.” 대학생인 아들은 고1 때 한 NGO에서 주관한 기아체험 프로그램에 가서 아침부터 밤까지 굶고 8시간 봉사확인을 받아왔다고 했다. #사례2=서울시 00구의 봉사기획 담당관 C씨는 얼마전 서울시자원봉사센터에서 보낸 올해 구 자원봉사센터에 대한 평가기준 초안을 보고는 한숨이 났다고 했다. 100점 만점으로 이루어진 평가지표들 가운데 절반 이상이 ‘서울시 자원봉사센터 프로그램에 얼마나 잘 참여했는지’를 따지는 항목들이었다. “모든 수단을 동원해 자원봉사자를 모아 참석하지 않으면 낮은 평가를 받을 게 뻔하죠. 구청장으로부터 질책도 받고, 센터 예산을 삭감 당할지도 몰라요.” C씨는 다하자(‘다함께 하루라도 자원봉사’의 약자) 등 서울시가 주도하는 프로젝트 5개에다 구청장이 요구하는 각종 이벤트 준비로도 봉사센터 업무가 마비될 지경이라고 했다. “그런 행사에 가면 박수나 치고 의미 없이 시간을 보낸다는 걸 뻔히 알면서도 봉사자들을 모을 수밖에 없어요. 어쩔 수 없이 봉사활동 확인서나 마일리지 같은 것들로 사람들을 유혹하는 거죠.” #사례3=경기도의 한 자원봉사센터 소장 L씨는 자원봉사활동기본법 시행 초기인 4년 전에 겪었던 난감한 일을 얘기했다. 센터에서 가끔 자원봉사 활동을 하던 주부 P씨가 찾아와 “우리 센터에서는 왜 쿠폰을 주지 않느냐”고 항의를 한 것이었다. 자초지종은 이러했다. P씨가 이웃 주부와 함께 백화점에 갔는데 이웃 주부가 계산을 하면서 할인쿠폰을 꺼내더라는 것이었다. P씨가 “쿠폰이 어디서 났느냐”고 묻자 “자원봉사센터에서 줬다”고 했다는 것이다. 그 주부는 다른 센터에서 봉사활동을 했었다. “다른 분들도 항의에 가세하는 바람에 하는 수 없이 우리도 할인쿠폰제를 시작했지요.” L씨는 그런 일이 빈번해지면서 전국 대부분의 센터들이 앞다퉈 할인쿠폰제도를 도입했다고 전한다. 한술 더 뜬 곳도 많다. 안양의 한 센터는 지역의 백화점·식당·빵집 등과 연결해 아예 ‘할인가맹점 거리’라는 것을 만들었고, 이것 또한 유행처럼 번졌다. 성인 자원봉사자들에게 남발되는 이런 식의 물질적 인센티브는 대표적으로 비판 받는 아이템 중 하나다. 우리의 자원봉사 현장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장면들이다. 1990년대 중반부터 지속된 민·관의 적극적인 캠페인, 그리고 관련법(자원봉사활동기본법) 제정 등 정책적 노력으로 이제 어린아이들에까지 친숙해진 자원봉사. 하지만 그렇게 급속히 대중화한 이면에는 이렇듯 의도하지 않은 부작용도 함께 존재한다. 자원봉사의 기본가치인 무보수성·자발성·공익성 대신 형식적이고 수동적이며 대가가 주어지는 봉사 아닌 봉사가 한편에 자리를 잡은 것이다. 이러한 부작용의 배경에는 입시에의 반영, 대학의 학점제와 같은 제도에 의한 사실상의 강요, 그리고 과도한 물질적 인정·보상 분위기가 큰 몫을 하고 있다. 2010년 3월 행안부가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해 마련한 자원봉사 인정·보상 기준이 그 획일성으로 인해 오히려 창의적이고 비공식적인 자원봉사 활동을 위축시키고 있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더욱이 우수 자원봉사자에 대해 공공시설이용료 면제, 간병인 무상지원 등 인정·보상을 명문화하는 자원봉사활동기본법 개정안들이 일부 의원들에 의해 발의돼 국회에 계류 중인 것도 민간 자원봉사계의 비판을 받고 있다. <이하생략> -------------------------------------------------------------------------- 계속 보시길 원하시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5680153&ctg=1202



개인정보취급방침 이용약관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오시는 길